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홍순화 기자]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가 26일 ‘2025년 9월 채권시장지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종합 채권시장심리지수(BMSI)는 110.4로 집계돼 전월(105.8) 대비 4.6포인트 상승했다. 채권금리 및 환율 상승 전망이 강화됐으나,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과 국내 증시 투자심리 약화가 맞물리면서 채권시장 심리가 다소 호전된 것으로 분석됐다.


금투협, ‘2025년 9월 채권시장지표’ 발표…종합 BMSI 전월比  4.6p↑종합 BMSI 추이. [자료=금융투자협회]

기준금리 BMSI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4%가 8월 28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직전 조사(93%)보다는 소폭 줄었으나,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부동산 불안, 환율 변동성이 이어지면서 동결 전망이 우세했다.


금리전망 BMSI는 118.0으로 전월(138.0) 대비 악화됐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고 글로벌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할 것이란 인식이 확산되며, 금리 상승 응답 비율이 14%로 전월(4%)보다 10%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금리 하락 응답자는 32%로 전월(42%)보다 줄었다.


물가 BMSI는 90.0으로 전월(86.0)보다 개선됐다. 국제유가 반등에도 불구하고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로 전월(2.2%)보다 소폭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 응답은 18%로 줄었다. 물가 하락 응답은 8%로 전월과 동일했다.


환율 BMSI는 98.0으로 전월(123.0)보다 크게 낮아졌다. 미국 기술주 조정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달러 강세 압력이 심화된 영향이다. 이에 환율 상승 응답은 18%로 전월(7%)보다 11%포인트 늘었고, 환율 하락 응답은 16%로 전월(30%)보다 감소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고금리 기조와 환율 불안정 요인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으나, 국내 경기 둔화 우려와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이 채권시장 심리에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hsh@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8-26 10:59:0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혁명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