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이사 김영섭)가 국내 최초로 상용 5G 네트워크에서 AI-RAN(Artificial Intelligence Radio Access Network·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 기술 검증에 돌입하며 네트워크 혁신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KT(대표이사 김영섭)가 상용 5G 네트워크에서 AI-RAN(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 기술 검증을 시작했다. KT 직원들이 AI-RAN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KT는 26일 전남 나주 지역에서 노키아의 최신 5G 기지국 장비에 내장된 AI 전용 프로세서를 활용해 AI-RAN 기술 검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상용 5G 망에 AI-RAN을 구현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회사는 이번 검증을 바탕으로 상용 서비스를 본격 개시하고 적용 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AI-RAN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 사이에서 오가는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무선 자원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6G 시대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만큼 이번 5G 기반 검증은 향후 차세대 통신망 구축을 위한 필수 선행 단계라는 평가다.
KT가 상용망에 도입한 주요 AI-RAN 기능은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 △머신러닝 기반 MU-MIMO 두 가지다. 머신러닝 기반 채널 추정은 기존 수학적 계산 방식의 한계를 보완한다. 산이나 고층 건물에 부딪혀 복잡하게 변하는 전파 세기를 AI가 학습해 더 정밀하게 추정, 데이터 손실과 지연을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에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머신러닝 기반 MU-MIMO는 AI가 각 단말의 전파 방향과 트래픽 상황을 즉시 분석해 간섭이 적은 사용자 조합을 찾아낸다. 그 결과 기지국의 전체 처리 용량이 확대되고, 이용자는 더 빠른 속도와 향상된 품질을 체감할 수 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AI-RAN은 고객 체감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6G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술”이라며 “KT는 상용망에서 AI-RAN을 가장 먼저 검증·도입해 네트워크 혁신을 선도하고 기술 리더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검증 성과는 향후 국내 통신망 고도화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KT의 경쟁력을 높이는 발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