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들이 하반기부터 순이익의 20%를 넘는 배당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면서 자본시장 참여자들사이에 금융지주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금융위)는 24일 정례회의를 열고 은행과 은행지주사에 대한 배당 제한 자본관리 권고를 이번 달 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순이익의 20% 내에서 배당을 실시하도록 한 은행권 자본관리 권고가 이달 말 종료되고 7월 1일부터 금융지주사는 중간배당 또는 분기배당 실시여부 및 수준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은행의 중간·분기배당도 가능해진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원과 함께 은행지주사 8곳, 은행 8곳을 대상으로 스트레스테스트를 시행했는데, 모든 시나리오 상 배당제한 기준 규제비율을 상회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올해초 코로나 사태로 일부 은행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국내 은행지주회사와 은행의 배당(중간배당·자사주매입 포함)을 순이익의 20% 이내로 줄일 것을 권고했다.
이미 일부 금융지주사들은 중간배당을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서울 을지로 하나금융그룹 본사. [사진=더밸류뉴스]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중간배당을 통해 분기별이나 반기별로 안정적인 배당을 하겠다"고 밝혔고,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역시 2023년까지 배당성향을 30%까지 높이겠다고 공언했다. 조용병 신한지주 회장도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히면서 배당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금융지주사의 역대 배당성향을 살펴보면 대부분 20%를 넘는다. 배당성향이란 배당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금융지주사 가운데 배당성향(주당 배당금)이 후한 곳은 하나금융지주로 25.54%(1900원. 2018년)→25.78%(2100원, 2019년)→20.45%(1850원, 2020년)이었다.
KB금융의 주당 배당금은 1920원(2018년)→2210원(2019년)→1770원(2020년)이었다. 배당성향으로 환산하면 24.82%(2018년)→26.00%(2019년)→19.96%(2020년)이다. 신한지주의 주당 배당금은 1,600원(2018년)→1850원(2019년)→1500원(2020년)이었다. 배당성향은 각각 23.86%, 25.97%, 23.54%였다.
우리금융지주의 주당 배당금은 700원(2019년)→360원(2020년)이었다. 배당성향은 27.00%(2019년)→19.89%(2020년)이다. 이번 결정으로 금융지주사들이 하반기에 중간 배당을 실시하면 올해 배당성향은 예년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