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약기업 MSD(머크)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임상 중간 결과가 타 백신에 비해 두드러지는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백신 개발 성공 기업과 실패 기업이 판가름 나는 가운데, 국내 백신 개발 기업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美 머크 CI. [사진=더밸류뉴스(머크 홈페이지 캡처)]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MSD는 25일(현지시각)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중단하고,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MSD는 ‘리지백바이오테라퓨틱스’와 함께 MK-7110과 MK-4482라는 항바이러스약을 연구 중에 있다.
이번 개발 중단의 원인은 타 백신 대비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경쟁사인 화이자, 모더나 등은 전 세계에서 긴급사용 승인을 받고 백신 접종에 착수하고 있고, 존슨앤드존슨과 아스트라제네카 역시 백신 개발 마무리 단계에 돌입한 상황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글로벌 백신 개발의 승자가 올해 명확해짐에 따라, 그간 진행돼 온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업의 옥석 가르기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을 거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에 국내 백신 개발 기업에도 기대와 우려 섞인 시선이 전해지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 임상 승인된 백신 종류는 총 7개로, △국제백신연구소(INO-4800) △제넥신(095700)(GX-19N) △진원생명과학(011000)(GLS-5310)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NBP2001)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GBP510) △유바이오로직스(206650) △셀리드(299660) 등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