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진기 교수의 경제 이야기] PER×(1/(1+i)^n)의 공식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까? PER 즉, ‘Price Earnings Ratio’는 한국에서 ‘주가수익비율’ 또는 ‘주가수익률’ 등으로 부르고 있는데, 필자는 그냥 알기 쉽게 ‘주가수익배수’라고 이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PER은 ‘주가/주당순이익(EPS)’ 또는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계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도 찬찬히 살펴보면 ... 2019-07-11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손자병법과 숫자로 풀어보는 순환출자 논쟁 「손자병법(孫子兵法)」은 대략 2600년 전에 써진 것으로, 오늘날에도 최고의 군사 고전으로 꼽히고 있다. 혼란했던 중국 춘추시대의 약소국이었던 오나라는 이 책을 쓴 저자 손무(孫武)가 전군의 지휘권을 맡으면서 막강한 군사력을 형성하게 되어 일약 강국이 된 점을 고려해 보면 그 내용의 실용성은 나무랄 데가 없는 듯하다. 최근에 순환... 2018-12-31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주식 매수가격,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주식의 매수가격을 수학적으로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면 그것만큼 신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과연 주식의 매수가격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을까? 현대의 금융공학은 주식의 매수가격을 수학과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해내는 괴력을 과시하고 있다. 그런데 대체로 그러한 계산의 결과는 현실에 잘 들어맞지 않아서 투자자들을 속상... 2018-12-18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구글이 한국에서 창업했다면 구글이 되었을까? 2018년 4월 20일 기준으로 구글은 전 세계 검색엔진 시장점유율의 90.8%를 차지하고 있다. 필자가 중요한 자료를 검색할 때는 국내 검색엔진보다 구글을 사용한다. 자료가 많고 편리하기까지 하다. 구글 스토리는 1995년 스탠포드대학에서 시작된다. 창립자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은 스탠포드대학에서 만났고, 박사과정에 다니면서 1998년에 친구 집 차고에서 ‘Google Inc.’라는 이름으로 구글을 설립했다. 2018-11-27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숫자로 본 삼성전자의 소유권 삼성전자의 1대 주주가 국민연금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이 1대 주주라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은 마치 삼성전자의 1대 주주가 국민이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경영자는 주인인 국민의 뜻에 따라 경영을 해야 한다거나 정작 주인이 따로 있는데 엉뚱한 사람이 경영을 하고 있는 것은 부당하다는 듯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주장의 진위를 숫자로 살펴보려고 한다. 2018-10-31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가치투자의 황제 존 네프의 가치투자 공부 존 네프(Johm Neff)는 가치투자의 황제라고 불리며, 워렌 버핏(Warren Buffett), 피터 린치(Peter Lynch)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투자 업계의 ‘살아 있는 전설’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31년간(1964 ~1995) 뱅가드 윈저 펀드(Vanguard's Windsor Fund)를 운용하면서 펀드 연평균 수익률 13.7%를 달성하여 펀드 규모를 대략 57배로 성장시켜 윈저 펀드를 미국 내 최고의 펀드로 만들었다. 2018-10-17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대한민국, 아직은 희망이 넘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 꺼져가고 있다고 염려하고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한국의 성장 동력을 숫자로 살펴본다. 사람들은 오늘날 시대의 특징을 지식기반산업사회라고 불러왔고, 근자에 와서 여기에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수식어까지 붙게 되니, 이 시대는 영락없이 지식, 그 중에서도 과학기술 지식이 가장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과학기술 지식이 국가의 핵심적인 성장 동력이 되고, 경쟁력이 되는 시대다. 2018-09-17 윤진기 교수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칸트 철학과 경제자유도 '서양 철학의 호수'로 불리는 철학자 임마뉴엘 칸트(Immanuel Kant)는 치열한 철학적 사유 끝에 인간이 창조의 궁극목적이라는 결론을 내려서 인간의 가치를 최고의 경지로 올려놓았다. 칸트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새겨져 있다 “내가 자주, 그리고 오랫동안 깊이 생각하면 할수록 내 마음을 늘 새롭고, 더 한층 감탄과 경외심으... 2018-08-28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 이야기] 가중치의 미학, 그 아름다움과 눈부심에 대하여 가중치(Weight)라는 용어는 인간의 삶을 숫자로 표현하는 데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이 사용된다. 가중치는 전체 집단에서 개별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나 중요도를 수치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하는 경우와 같이, 비중을 달리하... 2018-08-09 윤진기
-
[윤진기교수의 경제와 숫자 이야기] 부도나는 기업은 대략 5년 전부터 알 수 있다 회사가 부도가 나면 경영자와 그 가족은 거리로 나앉고 직원들은 실업자가 된다. 부도나는 회사인줄 모르고 투자한 투자자도 돈을 모두 날리게 되어 치명적인 손실을 입게 된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사장이 자살을 하여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기도 한다. 1997년 IMF 금융위기 때에 대량의 부도 사태가 발생한 것을 아직도 잊지 못하고 있... 2018-07-30 윤진기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