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버핏 지수, 한국 주식 시장은 '적정'... 88.75%

- 워런 버핏, "그 나라 주식시장의 고평가, 저평가를 측정하는 최고의 척도"

  • 기사등록 2023-11-01 08:21:02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구본영 기자]

한국 주식 시장이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 기준에서 투자하기에 적정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버핏 지수는 그 나라의 주식 시장 시가총액을 GDP(국내총생산)로 나눈 값으로, 그 나라의 주식시장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의 하나로 쓰인다.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언급하면서 버핏 지수로 불리고 있다. 


◆ 지난달 버핏 지수 88.75%... "적정"


기업분석전문 버핏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한국 주식 시장의 버핏 지수는 88.75%이며 적정 평가(fair valued)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총자산을 포함해 계산한 버핏 지수 수정버전으로는 70.08%로 마찬가지로 적정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한국의 버핏 지수 추이. [자료=버핏연구소]

현재 한국 주식 시장에 투자할 경우 향후 기대수익률은 4.7%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 경제성장률 3.66%, 코스피 평균 배당수익률 1.25%를 감안해 산정했다. 


버핏연구소 조사결과 최근 20년 동안 한국 주식 시장에서 버핏 지수가 최고치를 기록한 때는 2021년 6월(140.71%)이었다. 당시 한국 주식시장에는 동학 개미, 서학 개미 열풍이 몰아쳤고 그해 6월 25일 코스피 지수는 3316으로 최고치를 찍었다. 최근 20년 동안 한국 주식시장에서 버핏 지수가 최저치를 기록한 시기는 2009년 1월(43.01%)로 대표적인 약세장이었다. 앞서 2008년 10월 27일 코스피 지수는 892로 역사적 저점을 찍었다. 


◆워런 버핏, "주가 수준을 측정하는 최고의 단일 척도"


버핏 지수라는 용어는 워런 버핏 회장이 2001년 미 경제전문지 포천과의 인터뷰에서 "적정한 주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단일 척도는 그 나라의 시가총액을 GDP로 나눈 값"이라고 언급하면서 생겨났다.  


버핏 지수가 60% 미만이면 '현저한 저평가'(Significantly Undervalued), 61~80%이면 '저평가'(Modestly Undervalued), 81~100%이면 적정(Fair Valued), 101~110%이면 고평가(Modestly Overvalued), 111% 이상이면 현저한 고평가(Significantly Overvalued)로 분류된다. 


버핏 지수의 분모에 그 나라의 중앙은행 총자산을 포함해 산정한 버핏 지수 수정버전도 사용되고 한다. 버핏 지수 수정버전이 50% 미만이면 '현저한 저평가'(Significantly Undervalued), 51~60%이면 '저평가'(Modestly Undervalued), 61~75%이면 적정(Fair Valued), 76~90%이면 고평가(Modestly Overvalued), 91% 이상이면 현저한 고평가(Significantly Overvalued)로 분류된다. 


qhsdud1324@icloud.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밸류뉴스'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1-01 08:21:0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재무분석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