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진구 기자 ]

[김진구 연구원]

저금리와 경기 침체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은행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특히 은행 직원 수를 대폭 줄이며 판관비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우리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IBK기업은행 등 5대 은행의 직원 수는 지난해 말 7만9,221명에서 지난 9월 말 7만8,010명으로 1.4%(1,116명)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시중은행과 국책은행 등 특수은행 직원은 모두 13만2,170명으로 2006년 12월 말(13만990명) 이후 9년6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금융권에 부는 감원 한파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일부 시중은행들은 희망퇴직을 시행하거나, 추가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최근 노조에 올해 두번째 희망퇴직을 제안했다. 앞서 지난 7월 희망퇴직을 통해 KB국민은행은 200명을 내보낸 바 있다. 국민은행이 노조에 제안한 이번 희망퇴직 대상은 만 55세 이상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에 만 45세 이상 일반직원이 포함됐다. 

다만 지난해 희망퇴직을 통해 1,300여명을 내보낸 상황에서 하반기 추가 희망퇴직에 대해 노사간 합의를 도출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희망퇴직이 노사간 합의 사안인 만큼 (노조)선거 등과 맞물려 올해 추가로 시행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사측에서 노조에 관련 협의를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통해 올해 410명의 퇴사를 결정했다. 이번 희망퇴직 대상은 만 56세 임금피크제 대상자와 40세 이상 직원이었다.

올 상반기 316명의 희망퇴직 대상자를 선정한 우리은행은 연내 추가 시행 계획은 없지만, 내년 초 예년보다 확대된 규모의 희망퇴직을 시행할 계획이다. 민영화 성공으로 민간 주도의 사외이사가 꾸려지는 만큼, 인력 효율화 방안 차원에서 희망퇴직 대상이 대폭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기존에 열악했던 희망퇴직 보상조건을 타행 수준으로 늘려준다면 자발적 퇴직규모는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014111915518052272_1_99_20141119170409

미국의 금리 인상과 대통령 탄핵에 따른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으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은행의 내년 실적 전망도 그리 밝은 편은 아니다.

수출과 내수가 모두 부진한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올라가면 한계기업과 한계가계의 연체율이 올라가면서 실적을 내기가 극히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이른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후 호봉제 폐지 등 은행 사측이 원했던 임금체계 변경이 어려워진 것도 문제다.

핀테크(금융기술) 발달로 영업점을 찾는 고객이 급감하는 등 경영환경이 변하고 있지만 은행은 임금체계가 비탄력적이라 변화에 유연한 대응이 쉽지 않다. 결국 비용을 억제해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당분간 희망퇴직이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김우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저성장·저수익 환경에서 비용관리를 통한 은행 경쟁력 유지는 반드시 필요한 경영전략』이라며 『특히 핀테크 영향으로 인력구조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노사간 합의로 진행되는 희망퇴직은 대규모라 해도 부정적 측면보다 긍정적 측면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Copyrigh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hs_buffett@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12-12 11:22: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4차산업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