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테카바이오, ‘바이오 USA 2024’서 AI 신약 플랫폼별 맞춤 파트너링 추진

- 합성신약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 가능한 AI 신약 플랫폼 보유 역량 홍보 및 경쟁력 강조

- 선행도출 유효물질 DB 기반 ‘STB 런치패드’ 홍보…글로벌 파트너링 및 사업화 기회 모색

  • 기사등록 2024-05-29 12:24:30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이다윤 기자]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대표이사 정종선)가 글로벌 시장에서 AI 신약 플랫폼을 바탕으로 사업화 기회를 모색한다.


신테카바이오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4(바이오USA)’에 홍보 부스를 마련하고 AI 신약 플랫폼을 홍보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테카바이오, ‘바이오 USA 2024’서 AI 신약 플랫폼별 맞춤 파트너링 추진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신테카바이오 부스 조감도. [사진=신테카바이오]

바이오USA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콘퍼런스로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과 업계 관계자가 모여 글로벌 비즈니스를 논의한다. 매년 미국 바이오 클러스터에 위치한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오는 6월 3일부터 6일(현지 시각)까지 열린다.

 

2년 연속 행사에 참여한 신테카바이오는 바이오프로세스 존 내에 56㎡(17평) 규모의 단독 부스를 설치할 예정이다. 신규 론칭한 STB 런치패드(STB LaunchPad) 서비스와 대표 AI 신약 플랫폼인 ‘딥매처(DeepMatcher®), 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네오-에이알에스(NEO-ARS®)’, 항체신약 예측 및 발굴 플랫폼 ‘에이비-에이알에스(Ab-ARS™)’ 홍보에 나선다.

 

회사는 합성신약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까지 협력 가능한 AI 신약 플랫폼 보유 역량과 딥매처, 자체 슈퍼컴센터 및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된 AI 신약 후보물질 발굴 체계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부각할 계획이다. 글로벌 고객 유치 및 계약 수주에 중점을 두고 고객사 니즈에 따른 맞춤형 파트너링을 진행하고 비즈니스 협력 기회도 모색한다.

 

또 부스 내 벽면에 STB 런치패드 서비스를 강조할 예정이다. STB 런치패드는 염증, 자가면역 관련 질환, 암, 뇌질환 및 피부질환 등 15종 이상의 질환과 관련된 130여 개의 타깃 단백질에 대해 선행적으로 도출한 다양한 단계의 유효물질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한 AI 신약개발 서비스다. 신약개발을 유효물질 단계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원하는 타깃에 대한 유효물질 발굴이 보장되는 장점도 있다.


dayun58@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9 12:24: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LG그룹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