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 시장의 디스플레이장비 및 부품주 가운데 올해 3분기 예상 매출액 증가율 1위는 핌스(347770)(대표이사 김영주)로 조사됐다.
핌스의 회사소개 이미지. [사진= 핌스 홈페이지]
기업분석전문 버핏연구소의 조사 결과 핌스의 올해 3분기 예상 매출액은 192억원으로 전년비 106.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스플레이장비 및 부품주 21Q3 매출액 증가율. [자료=버핏연구소]
이어 천보(278280)가 77.55%, 덕산테코피아(317330)가 62.03%, 아이엘사이언스(307180)가 47.95%, LX세미콘(108320)이 38.18%, SK머티리얼즈(036490)가 26.67%, 한솔테크닉스(004710)가 7.97%, 서울반도체(046890)가 6.7%, 동아엘텍(088130)이 6.62% 증가할 전망이다.
핌스 분기별 매출액 추이(억원). [자료=버핏연구소]
1위를 기록한 핌스는 OLED 디스플레이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메탈 마스크의 설계 및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핌스, 중국 BOE 공급 물량 증가
핌스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 예상 매출액, 영업이익은 각각 192억원, 34억원으로 전년비 106.45%, 277.7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핌스 최근 실적. [자료=버핏연구소]
핌스는 중국 디스플레이 1위 기업 BOE으로부터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폰에 사용되는 DDI는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이용했으나, 올해 비메모리 쇼티지로 수직계열화의 리스크가 크게 부각되었다. 때문에 내년 삼성전자는 DDI 파운드리 다변화에 설 것으로 예상되며, BOE OLED 패널 구매가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OE 패널 채택은 팹리스로는 노바텍(Novatek)과 LX세미콘, 파운드리로는 TSMC와 UMC로 공급처를 다면화할 수 있어 비메모리 쇼티지 국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부품 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핌스의 OLED 디스플레이 공정 이미지. [사진= 핌스 홈페이지 제공)]
핌스의 마스크(Mask) 생산능력(CAPA)은 4분기 월 600매 수준에서 연말 신공장 준공 이후 월 1500매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BOE의 FMM 구매 확대와 CAPA 증설이 맞물려 2022년 1000억원 이상의 매출액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연간 영업이익도 200억원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핌스의 최근 1년 주가 추이. [사진=네이버 금융]
핌스의 지난해 기준 ROE(자기자본이익률)는 15.65%이다. 12일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은 39.47배, PBR(주가순자산배수)는 3.55배이며 동일업종 평균 PER은 45.83배이다.
◆김민용 신임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김영주 대표는 2015년 핌스를 설립해 대표이사로써 회사를 이끌어왔다.
현재 핌스는 남동공단 신공장 세트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12월 중 신공장에서 양산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기대되어 안정적인 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공장에서 새롭게 확보되는 CAPA 및 자동화설비 도입을 통해 최고의 품질을 경쟁력으로 업계 선두주자로 발돋움하겠다는 것이다.
지난 9월 김 대표는 새롭게 김민용 사장을 취임시키며 “회사의 장기적이고 견고한 발전을 위해 전문 경영인인 김민용 사장을 중심으로 회사 체제를 개편할 것”이라며 “앞으로 본인은 글로벌 패널사와 더 긴밀하게 협력해 지속가능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고, 최대 주주인 주광연 사장은 에칭 등 원천 기술 개발에 매진해 R&D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