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기업들이 미국발 컨테이너선의 공급 부족과 운임비 인상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한진해운 파산 이후 국내 해운사의 수복량(적재능력)이 회복되지 않아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1000TEU(20피트)급 컨테이너운반선. [사진=더밸류뉴스(대선조선 제공)]
수요증가와 공급부족이 맞물려 운임비가 급증했다. 한국선주협회에 따르면 8월을 기점으로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며 운임비는 3달간 37.47% 상승했다.
지난달 24일 한국 무역협회와 한국선주협회가 마련한 선화주 감당회에서 삼성SDS(018260)·판토스·현대글로비스(086280) 등 국내 화주기업은 미국발 컨테이너선 긴급 투입을 요청했다.
이에 18일 HMM(옛 현대상선)(011200)은 북미 서안 항로(부산~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컨테이너선 2척을 긴급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HMM이 부산~LA항로에 임시편을 투입한 건 지난 8월과 9월에 이어 올해 들어 세번째이다.
하지만 부산발 임시 선박을 투입하는 회사는 국적 선사인 HMM 뿐이다. 타 선사들은 높은 프리미엄(추가 운임)이 형성된 중국발 화물을 운송하려 국내 수출기업과 장기 운송계약을 맺은 선박까지 중국에 우선 배치하고 있어 미국발 선박 공급에 차질을 겪고 있다.
최근 3달간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 추이. [이미지=더밸류뉴스]
이에 업계에선 2016년 한진해운 파산 이후 국내 선사들의 선복량이 줄어든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는 한진해운 파산 후 지난 2018년 해운업 재건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해운사 총 선복량은 2016년에 비해 약 28만TEU(20피트 컨테이너 단위)가 줄었고, 4년 전의 78%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