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에서 찾아가지 않아 잠자고 있는 휴면금융재산이 1조2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휴면금융재산 및 장기 미거래 금융재산 관리 우수사례 소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휴면금융재산은 1조2000억원이다. 또 3년간 거래되지 않은 개인 금융재산인 장기미거래 금융재산은 7조7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금융감독원]
휴면금융재산은 휴면보험금 4902억원, 휴면예금 2961억원, 미수령 주식·배당금 1461억원, 휴면성 증권 1279억원, 휴면성 신탁 1070억원 순이다. 장기 미거래 금융자산으론 예금이 4조614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에 3조5069억원, 상호금융에 1조575억원, 저축은행에 504억원이 묶여 있다. 이밖에 미지급 보험금 3조315억원, 불특정 금전신탁 112억원으로 파악됐다.
휴면금융재산 및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현황. [사진=금융감독원]
이에 금감원은 1년 이상 거래 없는 소액(50만원 이하) 계좌를 해지·이전할 수 있는 '내계좌 한눈에(어카운트인포)' 서비스를 하고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의 '잠자는 내돈 찾기 코너'를 개설해 휴면금융재산을 일괄조회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왔다.
하지만 금감원 측은 “잠자는 돈의 주인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휴면금융재산이 발생하고 있다”며 “휴면금융재산이 쌓이지 않도록 금융회사도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은행연합회 등 각 금융협회와 함께 금융기관들이 휴면금융재산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 우수사례를 발굴해 전파하고 있다. 이러한 우수사례를 전 금융회사 대상으로 전파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4분기 중 금융업계와 함께 금융권 휴면금융재산 및 미사용 계좌 찾아주기 공동 캠페인도 함께 실시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