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오중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을 둘러싸고 백악관이 사실상 인상을 종용하고 나서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015년 제로금리 정책이 폐지된 가운데 월가에서는 올해 첫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으나 정책 개입자들은 이에 대해 시기상조라며 반박했다. 


이 가운데 올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연준은 금리를 현행 2.25~2.50%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던 연준은 이날 기존 ’점진적인 추가 금리인상‘ 문구를 삭제하고 향후 금리 조정에서 ”인내심을 갖겠다“며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회의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를 1% 인하해야 한다고 촉구했으나 연준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사진=더밸류뉴스]

미국 뿐 아니라 대다수의 국가에서 통화정책은 정부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백악관에서는 래리 커들로 미 NEC 위원장이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등 압박을 늦추지 않고 있다. 


커들로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당장 연방기금 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인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연준이 기준금리를 2.0% 선 위로 끌어올리지 말았어야 했다고 말하며, 통화정책 회의에서 정책자들이 내린 결정을 환영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입장이다.


커들로는 이에 그치지 않고 "낮은 인플레이션 수치로 볼 때 연준이 실제로 금리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문다면 우려를 갖고 어떤 정책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긴 것이 그 근거이다. 


그는 "백악관의 관점과 연준의 현재 관점 사이에 진정한 괴리가 있는 게 아니다"라며 “다만 올해 어느 시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4%를 기록하고, 실업률이 3.6% 밑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금리인하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이사로 지명한 대선 경제 자문 출신 스티븐 무어 지명자 역시 최근 연준이 기준금리를 5bp 내려야 한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도 연준이 금리를 과격하게 올리지 않았다면 미국 경제가 4.0% 성장했을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연준 정책자들은 그러나 정부의 노골적인 개입에 반발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자칫 양측이 대립각을 세울 경우 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닐 카시카리 총재는 로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 상황에 금리인하를 거론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라고 주장했다.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준은행 총재도 금리를 내리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내놨으며.  에릭 로젠그랜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또한 다음 정책 결정은 금리인하보다 인상이 될 것이라는 취지의 연설을 했다. 


재닛 옐런 전 연준 의장도 정책자들이 연내 금리인하를 단행하는 일이 없을 것이며, 연준의 독립성은 지켜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연준을 공격해왔지만 커들로 위원장의 언급은 가장 노골적이라고 지적했다. 


금리를 결정하는 다음 FOMC 회의는 다음달 6월 18~19일에 개최된다.


ojg@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2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3-31 08:56: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특징주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