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지완 BNK 회장, '실적개선·조직안정' 성과에도 중도하차...왜?

- "그룹 경영과 조직 안정을 위해 사임" 의사 밝혀

- 5년 2개월 재임기간 동안 실적 개선·조직 안정 성과

  • 기사등록 2022-11-07 17:00:29
기사수정
[더밸류뉴스=김미래 기자]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이 임기를 5개월 앞두고 7일 회장직에서 조기 사임했다. 


7일 BNK금융그룹은 보도자료를 내고 "김지완 회장이 최근 제기된 가족 관련 의혹에 대해 그룹 회장으로서 도덕적 책임을 통감하고 있으며, 최근 건강 악화와 더불어 그룹의 경영과 조직 안정을 사유로 사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일러스트=홍순화 기자]

◇김지완 회장은...


현 BNK금융지주 회장 1946년 부산 출생(76세) 부산상고부산대 졸업 부국증권 사장 현대증권 사장 하나증권(하나대투증권) 사장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문재인 대통령 대선후보캠프 경제고문 2017년 9월 BNK금융지주 회장 취임. 



◆실적 개선·조직 안정 성과에도 중도하차 


김 회장은 지난 2017년 9월 BNK금융지주 회장에 취임해 5년 2개월째 재임해왔다. 2020년 3월 연임해 임기는 내년 3월 말까지다.


김지완 회장은 재임 기간 동안 실적 개선과 조직 안정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김지완 회장이 취임한 2017년 9월 이후 BNK금융지주 실적을 살펴보면 2020년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실적이 개선돼왔다. 2018~2019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지완 회장의 사실상 경영 첫해인 2018년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5조985억원, 영업이익 7498억원, 당기순이익 538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5.77%, 26.16%, 26.61% 증가했다.


올해 3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2조730억원, 영업이익 3659억원, 당기순이익 273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41.4%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소폭(-0.3%, -4.55%) 감소했다.


내부 순혈주의를 깬 혁신 인사도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BNK금융지주는 지난 2020년 3월 핵심 계열사에 해당하는 부산은행장과 경남은행장을 동시 교체했다. 신임 부산은행장에는 안감찬 전 부산은행 부행장이 선임돼 빈대인 행장이 '낙마'했다.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은 '정통 은행맨'으로 김지완 회장과 갈등을 빚었다. 한때 BNK금융지주 회장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BNK금융지주는 라임펀드, 부실 대출 등을 이유로 빈대인 전 행장을 상대로 감사를 벌이고 징계위원회를 진행하기도 했고, 빈 전 행장은 여기에 맞서 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다. 전형적인 은행원 출신으로 안정을 중시하는 빈대인 행장과 여러 증권사를 거쳐 '증권맨'의 승부사 기질이 몸에 배인 김지완 회장의 '궁합'이 맞지 않았다는 후문이 나돌았다. 이런 갈등을 겪었지만 김 회장은 결과적으로 조직 안정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 


◆'증권맨→금융지주사 CEO' 진기록 세워... "금융지주사 CEO 한계 보여줘" 


금융권에선 이번 중도 하차는 최근 김 회장 자녀를 둘러싼 특혜 의혹이 제기된 후 금융감독원 조사까지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11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선 BNK금융그룹 계열사가 김 회장의 자녀가 있는 회사를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의혹이 나왔다. 


그렇지만 이번 김지완 회장의 중도 사퇴는 외풍을 받는 한국 금융지주사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김지완 회장은 고(故) 노무현 대통령과 부산상고 동문이고 2012년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경제고문을 지냈다. 


2017년 3월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 당시 '증권맨' 출신 금융지주사 CEO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김지완 회장은 1977년 31세에 부국증권에 입사해 4년만에 임원(영업이사)으로 승진했고 1988년 53세에 당시 최연소 증권사 사장에 올랐다. 이후 현대증권(현 KB증권) 사장, 하나대투증권 사장,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등을 거쳤다. 전형적인 '증권맨'이 금융지주사 회장이 선임되자 '은행 문외한이 낙하산 인사로 취임했다'는 말이 나왔다. 그래서 이번 중도사퇴는 '자언자득'이란 말도 나오고 있다.  


BNK금융은 3대 회장인 김 회장뿐 아니라 초대인 이장호 회장과 2대인 성세환 회장도 불명예 퇴진하면서 3연속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다. 이 전 회장은 ‘측근 경영’ 논란, 성 전 회장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인해 중도 사퇴했다. 


BNK금융 최고경영자 경영승계 계획에 따르면 차기 회장은 그룹 내부 승계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의외의 인물이 깜짝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BNK금융은 지난 4일 이사회에서는 외부 인사를 후보군에 수용하는 방향으로 규칙 개정을 논의했다. 내부 승계 후보로 꼽히는 안감찬 부산은행장과 최홍영 경남은행장은 앞서 언급했듯이 김지완 회장과 호흡을 맞춰왔다. 

 

BNK금융그룹 관계자는 “회장 사임서 제출로 인해 그룹의 경영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속한 시일 내에 이사회를 개최하고,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rkk@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2-11-07 17:00: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