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조영진 기자]

2020년 미국 대선이 막바지에 다다랐다. 현재 친환경 공약을 앞세운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에 각종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에 수혜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ESG펀드’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 후보. [사진=더밸류뉴스(MBC 캡쳐)]

조 바이든 후보는 205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 경제를 구축하고 탄소 순배출량 제로(0)를 달성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주요 프로젝트는 △기존 석유 및 가스의 배출 허용치 강화 △청정에너지 및 무공해 차량 장려 △온실가스 감축 및 저공해차량 도입 유도 △사기업의 기후 위해 및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제도 도입 등이다.


이에 기업의 사업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투자 의사 결정에 반영한 ‘ESG펀드’에 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일반적으로 ESG펀드는 화석연료 관련 매출비중이 높은 기업들에 대한 투자철회, ESG 등급이 낮은 기업에 대한 의결권행사, 친환경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대한 적극적 투자 등을 꼽을 수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 및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여기서 환경은 탄소배출,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제품 등과 관련된 이슈를 포함하며, 사회는 인적자원관리, 산업안전 등 그리고 지배구조는 배당 정책, 이사회 활동, 감사제도 등과 관련한 이슈를 포함한다.


2020년 7월말 기준 국내 ESG펀드는 총 41개로 순자산 규모는 4618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중 국내시장을 겨냥한 펀드는 약 87%로, 그 대부분이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공모펀드(96.5%)로 집계된다.


국내 ESG 펀드 시장 현황. [이미지=더밸류뉴스(자본시장연구원 제공)]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요 국가들의 친환경 관련 장기 정책이 발표되면서 ESG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그린 뉴딜과 친환경 에너지 사업 등으로 ESG 채권을 통한 자금조달은 증가세를 띠는 상황이다.


현재 ESG채권 금리는 일반채권 금리와 비슷한 수준으로 당장의 금리매력은 크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판단했다. 다만 인증을 포함한 사후보고 등을 통해 비재무적 위험을 사전에 인식하고, 투자자와 기업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는 분석이다.


한국판 뉴딜정책으로 향후 ESG채권 규모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융기관들이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ESG채권을 통한 자금조달은 더 커질 전망이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는 “기업의 환경과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를 강조하는 ESG 투자를 해야 한다”며 “ESG 투자는 정부의 그린뉴딜과도 닿아 있고 해외의 ESG펀드가 국내에 유입되는 효과가 있으며, 장기펀드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joyeongjin@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11-06 16:38: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특징주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