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대차-LG화학, '코나EV 배터리 화재'로 갈라서나...현대차, LG화학 의존도 줄일 가능성 - LG화학, 국토부 '배터리 셀 제조 불량' 결론에 반박
  • 기사등록 2020-10-09 07:11:40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조창용 기자]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좌), 구광모 LG그룹 회장(우) [사진=더밸류뉴스]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배터리 동맹'이 깨질 조짐이다. 현대자동차의 간판급 전기차 모델인 코나EV의 잇단 화재 원인이 국토부에 의해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결론 나면서 현대차가 LG화학 배터리 의존도를 낮출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현대차(005380)는 2015년 품질 이슈에서 이견을 보인 특정 타이어 업체와 거래를 끊는 것으로 대응한 전례가 있다. 현대차는 2015년 신형 제네시스(BH)를 출시했다가 타이어 편마모에 따른 진동 소음 문제로 4만여대를 리콜한 이후 책임 소재에서 이견을 보인 한국타이어(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와 거래를 끊고 지금까지 이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LG화학(051910)은 자사 배터리를 화재 원인으로 지목한 정부 발표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업계에서는 “ESS에서 못 밝힌 화재 원인을 코나가 밝혔다”는 평도 나온다. 현대차는 정부 명령에 따라 16일부터 시정조치(리콜)에 돌입한다.


9일 세계일보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 교통안전공단은 작년 8월 주차해둔 코나EV 3대에서 연이어 화재가 발생하자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제작결함 조사를 의뢰했다. 교통안전공단은 자동차안전연구원이 국내에서 발생한 9건을 현장조사 및 정밀검증하고 배터리 88개에서 결함 원인을 분석해왔다. 


급기야 국토교통부는 차량 충전 완료 후 코나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의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자동차안전연구원(CATRI)의 결함조사 결과 제조 공정상 품질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부와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이번 현대차의 자발적 리콜과 별개로 화재재연시험 등을 통해 리콜 계획의 적정성 등을 검증하고, 필요하면 보완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국토부는 발화 이유로 ‘배터리 내 합선’을 확정한 모습이다. LG화학 배터리를 용의자에서 피의자로 전환한 셈이다.


배터리 발화로 전소된 현대차 코나EV [사진=더밸류뉴스(한국경제TV 캡처)]업계와 학계 전문가들도 △배터리 모듈에서 열이 나는 부품은 셀 외에 없다는 점 △코나EV 화재 형태가 흰 연기 배출 후 폭발하듯 불타는 배터리 화재의 전형이란 점 △내수용 코나EV와 사실상 같은 팩, 모듈을 쓰고 있는 현대 기아차 전기차 모델 중에서 SK이노베이션(096770) 셀을 쓰는 코나EV 유럽향과 니로EV, 쏘울EV에선 화재가 보고된 적 없는 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화재 2건 감식결과 “배터리 내부 ‘절연파괴로 인한 열폭주(과전류로 인한 스파크 현상) 가능성”이 지목된 점 등에서 이번 결과는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결국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서보신 현대차 생산품질담당 사장은 “기술상, 제작상 책임을 인정하느냐”는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책임을) 인정한다”며 “완벽하지는 않지만 솔루션은 일부 찾았으며 리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서 사장 답변처럼 자동차 제작결함은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의 책임이라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이말은 결국 배터리 결함으로 인해 전기차 전체에 불신을 가져온 점을 인정하고 단호히 배터리 결함을 시정하겠다는 의지의 다른 표현이다.


이렇게 되면, 당장은 불량 배터리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발견된 팩 단위를 교체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한번 잃은 신뢰를 다시 주워담기가 어려운게 이 시장의 특성이다. 결국 양사의 합작은 물건너갈 공산이크다.


한편, LG화학 역시 물러서기 어렵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전기차 시장은 올해 850만대에서 10년 뒤 3700만대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이 시장에서 중국 CATL에 이어 2위에 랭크돼 있다. 코나EV 화재는 25년간 준비해온 미래산업이 빛을 보려는데 터진 악재다. 올 연말 현대차의 E-GMP 기반 차세대 전기차용 3차 배터리 발주 등 미래의 불이익을 감수하고라도 정면승부를 벌일 수 밖에 없는 절박한 사정이다.


creator20@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10-09 07:11: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삼성SDS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기획·시리즈더보기
재무분석더보기
제약·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