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 올해 1080조 규모 경기부양책…”국내 기업 신시장 진출 기회” - 무역협회, 혁신∙내수∙민생 등 ‘2020년 중국 6대 정책 키워드’ 제시 - 中, 6조3500억 위안 경기부양책 발표
  • 기사등록 2020-06-22 10:57:52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신현숙 기자]

중국이 내수 확대를 위해 강력하게 내놓은 전략이 국내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020년 중국의 6대 정책 방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6.8%로 전분기비 12.8%포인트(p) 떨어졌다. 이와 함께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했다.


박소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 경제는 고속 성장에서 고품질 성장 단계로 변모해왔다"며 "향후 속도보다는 혁신과 효율을 위한 정책과 안정적인 경제∙사회 발전을 뜻하는 '온중구진'(穩中求進, 안정 속 진전)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0년 중국 6대 정책 방향. [사진=더밸류뉴스(한국무역협회 제공)]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2018년에는 6% 후반대를 유지해왔지만 지난해는 전년비 0.5%p 하락한 6.1%를 기록했다. 이는 미∙중 무역 분쟁, 세계 경기 둔화 등의 영향이 컸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갈등 심화를 우려한 외국 기업들이 ‘탈중국’에 나서면서 투자도 연쇄적으로 타격을 받았다.


아울러 중국은 지난해 12월 호북성 우한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올해 1월 말부터 급격하게 전국으로 확산됐고 6월 기준 확진자는 8만4000명을 돌파했다. 이에 IMF, OECD 등 주요 국제기구가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대폭 조정한 것이다.


이처럼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올해 1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저성장이 확실시되면서 중국 정부는 하반기에는 민생 안정과 소비 진작 등에 초점을 맞춘 안정적인 경기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생산 및 소비 위축에 대응하고자 하반기 주요 경기 부양책으로 확대 재정정책과 유연한 통화정책을 예고했다.


지난 5월 중국 정부는 전국 양회를 열고 6조3500억위안(약 1080조원)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 △시장 및 정부 혁신 △내수 확대 △대외개방 및 협력 △고용∙민생 안정 △환경∙에너지 관리 등을 하반기 6대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재정적자 확대, 특별국채 및 지방채권 발행 등을 계획했다.


우리기업의 2020년 중국 시장 진출전략. [사진=더밸류뉴스(한국무역협회 제공)]

박 연구원은 “이번 경기 부양책 중 소비 및 유효투자 진작을 통한 내수 확대 전략에 주목해야 한다”며 “자동차∙가전제품 등 내구재 교체 수요와 데이터 경제 기반 혁신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이커머스와 온∙오프라인 결합(O2O) 서비스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내수 경기가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중국 기업의 ‘인터넷+’, 데이터 경제 기반 제조업 혁신과 융합 서비스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데이터 기반 생활서비스, 의료·헬스 등 분야에서의 현지 경쟁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의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기술에 대한 R&D(연구개발) 강화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지만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스마트카, 스마트 가전 수출 등 신시장 진출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코로나19를 계기로 이커머스와 O2O 소비가 재조명 받고 정부가 글로벌 전자상거래, 자유무역시험구 재량 확대 등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이를 기회로 삼아 이커머스 유통채널을 통한 내수시장 확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국이 내구재 교체 구매, 쇼핑거리 개선, 야간 경제 활성화, 농촌 소비 진흥 등 소비 촉진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자동차, 가전제품, 생활용품, 뷰티, 식품 등 내수용 품목에 대한 전략적 수출 확대도 도모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다만 글로벌 기술협력이 강화되며 중국 정부의 해외에서의 중국기업 지재권 보호 또한 강화되고 있어 협력 프로젝트 수행 및 관련 제품 수출시 상표권 및 지재권의 적시 등록과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 연구원은 “6대 정책 방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hs@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06-22 10:57:5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특징주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