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조창용 기자]

국내 대기업 수익성, 해외 동종업계의 반토막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발표한 ‘2011, 2019년 Forbes Global 2000대 기업 분석’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수익성이 낮고 업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6대 제조업 수익성(5.4%)은 글로벌 기업(9.4%)의 반토막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유틸리티(-0.9%), 백화점·할인마트(-0.8%), 항공서비스(-1.5%) 업종에서는 영업이익 마이너스를 기록해 양(+)의 영업이익을 낸 해외기업들과 큰 격차를 보였다. 에너지, 유통·항공 분야는 물론 반도체 등 주력 산업에서도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신산업 진출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도 우리 경제의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포브스 2000의 총 57개 업종 중, 국내 기업이 포함된 업종 23개는 전체의 40%에 불과했으며 미국(55개), 일본(45개), 중국(43개)의 절반 수준으로 업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기업의 시가총액 또한 글로벌 기업에 크게 뒤처지고 있다. 포브스 2000에 포함된 우리나라 기업 수는 62개사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지만 시가총액 합계는 8579억 달러로 12위에 그쳐 우리나라 기업의 절대 규모는 작은 편에 속했다. 프랑스(57개사, 시총 1.8조 달러)나 독일(53개사, 시총 1.5조 달러)등 주요국에 비해 포브스 2000에 이름을 올린 기업 수는 많지만 시가총액 규모는 이들 국가의 절반 수준이었다.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으로 범위를 좁히면 격차는 더 극명히 드러났다. 우리나라 기업 중 시가총액 500위 안에 포함되는 기업은 단 3개사에 불과해 포브스 2000 기업을 50개 이상 배출한 상위 9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보다 포브스 2000 기업 수가 적은 국가 중 500대 기업을 가장 많이 보유한 프랑스(21개)의 1/7 수준이었고 우리보다 한 순위 높은 인도(12개)와 비교해도 1/4 수준에 불과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은 동종 업계 세계 1위 기업에 비해 규모가 크게 작았다. 2019년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2724억 달러)의 시가총액은 세계 1위 기업인 애플(9613억 달러)의 28.3%, 자동차 업계 1위인 현대자동차(312억 달러)의 시가총액도 글로벌 최대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1766억 달러)의 17.7% 수준이었다. 이러한 지표들은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에 비상이 걸린 상황임을 말해준다.



SK그룹 현금창출 흐름 '비상'


최근 SK그룹에 경고음이 들리기 시작했다. 코로나 사태의 영향도 있지만 핵심 업종의 ‘초호황’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실적과 현금창출능력이 완연히 꺾여서다. 당장 돈줄이 말라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의 올해 1·4분기 SK(연결기준)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9,948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2조502억원에 비하면 절반을 밑돈다. 본업에서 벌어들인 현금이 그만큼 줄었다는 얘기다. 주력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096770)이 이 기간 유가 급락으로 직격탄을 맞았고 SK하이닉스(000660)도 미·중 분쟁 등의 직접적 영향권에 놓여있다.


반면 호황기에 공격적으로 설정한 투자 계획은 부담이 되고 있다. 업종 별로 보면 정유화학 부문에서 매년 2조~3조원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반도체 부문에서도 캐파(생산능력) 확장 및 공정 미세화를 위해 매년 수 조원대 투자가 필요하다. 통신부문에서는 5G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한 투자가 필수적이다. 영업현금흐름이 약화하는 상황에서 투자규모가 과중해 재무구조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기업 건전성 지표인 이자보상비율을 보면 이 같은 현실이 잘 드러난다. 2017년의 SK는 탄탄했다. 당시 SK는 5조5,45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이자비용으로는 7,835억원만 지출해 이자보상비율이 7.33배에 달했다. 이자보상비율이 크다는 것은 한 기업이 이자를 내고도 많은 이익을 남겼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비율은 2017년 이후 내리막을 타 2018년(4.39배)과 2019년(2.86배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1·4분기에는 영업손실이 나면서 비율 값이 사실상 영(0) 이하로 떨어졌다.


정유·화학, 에너지, 통신, 반도체 등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각 업권별 최상위 수준 시장 지배력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구가해왔지만 최근 경영 환경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변하지 않으면 ‘돌연사(sudden death)’ 할 수 있다.”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은 지난 3월 화상으로 열린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대상으로 “각 사가 스스로 살아남으려면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 2016년 일명 ‘딥 체인지(Deep Change)’ 선언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위기의식 재무장을 다시 한 번 요구한 것이다.


IB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SK의 주력 업종인 정유·화학과 반도체 업종의 초호황기가 저물면서 투자 속도와 리스크를 조절하는 ‘관리 모드’로 전환이 이뤄졌어야 했는데 코로나 사태로 속도감 있는 강제 조정이 필요하게 됐다”며 “SK의 위기 관리 능력이 시험대에 섰다”고 진단했다.


creator20@naver.com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06-04 18:12: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특징주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