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기업 10곳 중 3곳,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 - 지난해 기업 성장성·수익성·안정성 지표 하락 - 매출액증가율 -1.0%…석유화학·반도체·대기업 낙폭 커
  • 기사등록 2020-06-03 17:00:04
기사수정
[더밸류뉴스=신현숙 기자]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경기가 악화되면서 국내 기업의 성장성, 안정성 등이 부진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익성 악화로 지난해 이자를 낼 만큼의 돈도 못 벌어들인 기업들이 급증했다.

 

3일 한국은행은 '2019년 외감기업 경영분석'을 발표하며 이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외부감사대상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2만5874개를 대상으로 했다..

 

주요지표. [더밸류뉴스(한국은행 제공)]

지난해 전체 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1.0%를 기록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2018년 4.2%에서 급락한 것이다. 2015년 -2.4%를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마이너스 기록이다.

 

이 기간 동안 대기업의 경우 매출액 증가율이 4.3%에서 -1.5%로 떨어졌다. 중소기업은 3.9%에서 1.5%로 하락했지만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었다.

 

업종별로 보면 특히 제조업의 성장이 부진했다. 제조업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 2018년 4.5%에서 지난해 -2.3%로 떨어졌다. 매출액이 감소한 주요 업종은 석유정제(-6.8%), 전자·영상·통신장비(-8.4%), 화학제품(-6.8%) 등이었다. 반면 자동차(6.3%)와 조선·기타운수(12.5%)는 전년비 올랐다.

 

비제조업도 매출액 증가율이 2018년 3.8%에서 0.8%를 기록하며 마이너스로 전환되지는 않았지만 건설업(-3.0%) 등이 부진하면서 2.8%포인트나 떨어졌다. 

 

또 다른 성장성 지표인 총자산 증가율은 3.7%에서 5.0%로 증가했다. 한은은 지난해부터 새로운 리스 회계 기준(IFRS16)이 적용되며 운용 리스를 자산과 부채로 인식한 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체 산업 중 수익성을 보여주는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6.9%에서 4.7%로 떨어졌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역시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하락 폭이 컸다. 대기업은 2018년 7.2%에서 지난해 4.6%로, 중소기업은 5.6%에서 5.2%로 줄었다.

 

특히 제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 악화가 심화됐다. 화학제품과 전자·영상·통신 업종의 가격아 하락하며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18년 8.3%에서 지난해 4.6%로 떨어졌다.

 

화학제품은 수요부진으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전년비 2.6%포인트 하락한 6.4%를 기록했다. 전자·영상·통신 역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의 가격 하락으로 지난 2018년 18.8%에서 지난해 5.6%로 급락했다.

 

비제조업 수익성은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적었다. 비제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4.8%로 2018년 5.2%에 비해 0.4%포인트 줄었다.

 

이자보상비율 구간별 기업 수 비중. [더밸류뉴스(한국은행 제공)]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기업(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비율은 2013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하락한 반면 금융비용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자보상비율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수익인데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이다. 지표가 100%을 넘지 못하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자보상비율 구간을 나눴을 때 100%에 못 미치는 기업 비율은 31.3%에서 34.8%로 늘었다. 즉 기업 10곳 중 3곳 이상에서 이자보다 적게 돈을 적게 벌었다는 것이다.

 

0% 미만인 영업 적자 기업의 비율도 21.6%에서 23.4%로 늘었다. 반면 500% 이상인 기업 비율은 40.2%에서 36.9%로 감소했다.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95.4%)과 차입금의존도(27.7%)는 모두 증가했는데 이 것 또한 리스 회계 기준 변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자본잠식상태 기업의 비중은 2018년과 같은 8.8%을 유지했다. 외감기업 업체 평균 순현금흐름은 2018년 순유출(0억원)에서 순유입(+3억원)으로 전환했다.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인 현금수입으로 단기차입금, 이자 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현금흐름보상비율은 54.4%에서 50.5%로 하락했다.


shs@thevaluenews.co.kr

[저작권 ⓒ 더밸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06-03 17:00: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특징주더보기
버핏연구소 텔레그램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